환자 분들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최상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대부분 외상에 의해 어깨 관절이 한 번 탈구되어 빠진 이후 반복적으로 탈구되는 질환입니다.
어깨 관절의 외상성 전방 탈구의 가장 흔한 합병증이며, 외상성 손상시 제일 먼저 어깨 관절의 연골판 즉 관절와순이 파열 될 수 있으며, 그 다음에는 어깨 관절의 인대 근육의 손상이 올 수 있습니다.
어깨관절 불안정성이란? 대부분 외상에 의해 어깨 관절이 한 번 탈구되어 빠진 이후 반복적으로 탈구되는 질환입니다. 어깨 관절의 외상성 전방 탈구의 가장 흔한 합병증이며, 외상성 손상시 제일 먼저 어깨 관절의 연골판 즉 관절와순이 파열 될 수 있으며, 그 다음에는 어깨 관절의 인대 근육의 손상이 올 수 있습니다. |
■ 원인
외상이 심한 경우나 또는 지속적 재발성 탈구의 경우는 관절와나 상완골 골두의 골 및 연골 손상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어깨 관절을 스스로 탈구 시키거나 탈구시킬 수 있는 경우는 관절주변부 인대와 근육의 이완종이 동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는 치료가 쉽지 않게 되며 시간이 지날수록 관절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가장 흔한 관절 와순의 전방 파열의 경우 파열의 범위가 크거나 증상 지속 시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증상
어깨 관절이 빠지면 대개 심한 통증이 생깁니다. 그러나 반복적인 탈구 시, 탈구 횟수가 잦아지면 탈구 시 통증은 점차 줄어들고, 상대적으로 쉽게 탈구됩니다. 외상성으로 급성으로 탈구된 팔은 방구의 방향에 따라 특정 위치로 고정되어 움직일 수 없게 됩니다. 탈구시 신경이나 혈관이 함께 손상되는 경우에는 어깨 이하 팔 부위의 감각 이상또는 운동장애가 오거나 색깜 변화, 붓는 등의 혈관성 변화가 생길 수 있습니다.
급성 탈구 시에는 재빨리 탈구된 관절을 정복시켜주어야 합니다. 그 이후에 신경과 혈관의 손상 유무를 판단해야 하며 관절이 심하게 붓거나 시간이 지나도 관절의 통증이 지속되고 관절 운동에 제한이 생기면 MR 검사를 통해 관절와순의 파열 유무와 크기를 판단하여 보존적 치료 또는 수술적 치료를 결정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