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분들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최상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대부분 칼슘성분인 석회가 회전근개 힘줄 내에
쌓여 발생합니다. 어깨 퇴행성 및 염증성 변화로
인해 생기며, 50~80세에 발병하고,
젊은 연령층에서도 많이 나타나는 추세입니다.
뼈의 주성분인 칼슘이 어깨 주변부의
힘줄이나 윤활낭에 침착하는 질환 입니다.
급성 석회화 건염으로 인한 염증 발생 시에는 어깨주변의 통증이 심하고 열감이 나며,
어깨 관절의 앞쪽에서 팔 아래와 목 주변까지 통증이 나타납니다.
또한, 만성인 경우 팔을 올리는 동작이 부자연스럽고 시큰거릴 수 있습니다.
석회화건염의 발병원인은 매우 다양하지만 퇴행성과 염증성이 가장 대표적이며,
스포츠 활동이나 무리한 어깨 사용으로 인한 힘줄 손상이 있습니다.
이학적 검사(physical examination)후
석회성건염이 의심될 경우에는
MRI 검사를 통해 확진 할 수 있습니다.
석회화 건염은 급성기에 약물치료와 주사치료 만으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으며,
관절운동과 재활치료 또는 체외충격파 치료와 같은 보존적 치료를 통해 석회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석회의 크기, 양이 많은 경우, 재발성 석회화 건염으로 지속적인 증상을
유발하는 경우, 관절 내시경으로 수술적 치료를 통해 석회를 제거해야 합니다.
여러 증상이 있는 경우 MRI 검사를 통하여 동반되는 힘줄 및 관절 손상의 유무를 판단해야 합니다.
어깨 주위의 근육을 지속적으로 움직여
석회를 체내에서 저절로 흡수하게 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석회성건염으로 인한 염증을 완화해주고
유착을 풀어줄 수 있는 치료로써, 일부 석회의 경우
천자술을 동시에 시행하여 빼낼 수 있습니다.
석회 부분에 충격파를 가하여 석회가 체내에서 분해되고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치료입니다. 병변 주변부의 혈류량
증가로 일시적으로 염증이 증가한 후 최종적으로 감소 및
완화하는 효과도 같이 얻을 수 있으며 운동치료와 함께 병행합니다.
아주작은 피부절개만을 시행하고 초소형 카메라가 달린 내시경을 관절 내에 넣어서 관절
내부를 들여다보며, 관절의 이상을 확인하고 병든 부위를 치료하는 시술입니다.
일정 기간 비수술적 치료를 시행해도 호전이 없거나 통증이 극심한 경우 어깨 부분마취 후 수 mm에 불과한
작은 내시경을 어깨관절에 삽입하여 염증으로 유착된 관절낭과 활액막을 박리하고 두꺼워진 관절낭을 절개하여 늘리는
유착박리 및 관절낭 유리술을 시행 할 수 있습니다.